목록springboot (2)
BugDIARY

이 글은 나중에 프로젝트를 생성할 경우 참고하기 위한 글입니다. 또한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을 학습한 내용입니다. 스프링 웹 개발 시 가장 기초적인 방식 3가지 1. 정적 컨텐츠 방식 2. MVC 템플릿 엔진 방식 3. API 방식 1. 정적 컨텐츠 방식 요청 시 .html을 붙이면 컨트롤러를 거치지 않고 viewResolver를 통해 html파일을 찾아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해준다. (예시) http://localhost:8080/static-hello.html -> Controller에 Mapping이 존재하지 않아도 viewResolver가 알아서 resource/static폴더 내의 static-hello.html을 찾아서 변환해준다. 만..

이 글은 나중에 프로젝트를 생성할 경우 참고하기 위한 글입니다. 또한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을 학습한 내용입니다. 작성중인 내용 - 첫 프로젝트 생성부터 Hello Spring 까지의 작성법 - 중간중간 마주한 에러들 [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] Spring Boot의 경우 아래의 페이지에서 만들 수 있다. https://start.spring.io/ IntelliJ IDEA Community(무료버전)의 경우 플러그인을 설치해도 SpringBoot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은 지원해주지 않기 때문에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 페이지에서 프로젝트를 직접 생성 후 IntelliJ에서 열었다. [파일-열기] 혹은 프로젝트 열기를 통해 열..